[장석주의 영감 과 섬광] '행복한 나라'를 위한 지도는 없다

입력 2022-08-23 17:03   수정 2022-08-24 00:08


인간은 늘 크고 작은 불행에 휘둘리며 산다. 국민행복지수가 낮은 나라에서 살아남은 게 천만다행일지도 모른다. 인간의 불행은 왜 끝이 없을까? 내 경우 어린 시절엔 가난과 억압적인 공교육에 숨을 쉬기가 힘들었다. 가난은 불편을 낳고, 굴욕과 불평등을 낳으며, 의지와 열망을 꺾는다. 고등학교까지 병영화를 시도하던 독재 정권 시절, 학교마다 폭력 교사들이 버티고 있었다. 교사가 학생을 때리고 상급생들이 하급생을 때렸다. 학교는 끔찍했다. 내 능력치가 현실을 감당했기에 나는 행복보다는 불행에 더 자주 감염됐다.

이번주 ‘영감과 섬광’ 칼럼에서는 무엇을 다루냐고 물어봐서 행복에 대해 쓴다고 하니, 당신은 웃었다. 그 웃음은 무슨 의미였을까? 늘 권태에 짓눌린 주제에 행복에 대해 무엇을 쓴단 말인가! 그런 비웃음이었을까? 행복에 대해 말하려면 먼저 행복이 무엇인가를 물어야 한다. 원을 하나 그리고, 원 안을 행복이라 하고, 그 바깥을 불행이라고 하자. 불행은 행복 아닌 것의 총합이다. 그렇다고 불행을 뺀 남은 게 다 행복이라고 단정 지을 수는 없다.

과연 원이 행복이라면 당신은 그 안을 무엇으로 채우고 싶은가? 인류는 행복이라는 작은 구명보트를 타고 불행의 바다를 항해한다고 말할 수 있다. 인류의 일원인 나 역시 모든 시간과 열정을 바쳐 행복이라는 구명보트를 힘차게 저어 불행의 바다를 건너려고 했다.
느끼고 향유하는 능력에 달려
행복은 어떤 지복(至福) 상태다. 돈과 물질에 쪼들리지 않고, 생명과 신체의 안전이 지속되라는 믿음을 갖고, 타인과의 관계에서 환대받고, 무엇보다도 삶이 의미 있다고 확신을 갖는 것, 이것이 행복의 조건이리라. 행복은 복권 당첨같이 실물로 존재하기보다는 추상이고, 말로 할 수 없는 그 무엇이다. 행복은 감정이고 느낌이다. 그런 까닭에 행복은 조건의 문제가 아니라 그걸 온전히 느끼고 향유할 줄 아는 능력에 달려 있다. 그것은 마음의 충만, 의미로 가득 찬 시간, 우리를 기쁨의 지속으로 이끄는 벅찬 경험이다.

행복이 몸의 통점(痛點)처럼 일률적이지 않은 것은 그것이 주관적인 경험이기 때문이다. 사람마다 행복을 느끼는 포인트는 다르다. 나는 영적인 깊이, 내적 고요함, 오랜 우정, 계절의 신선한 느낌 같은 것에서 행복 지수의 밀도가 높아진다. 여행지에서 한가롭게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 23번 열정(Sonata No. 23 in F minor, Op. 57 ‘Appassionata’)을 들으며 읽은 바슐라르의 책들은 나를 행복하게 한다.

가난의 굴레 속에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한 채 음악에만 기대어 기쁨을 구하던 20대 초반의 일이다. 어느 추운 겨울날, 골목을 지나는데 차이콥스키의 피아노 협주곡 제1번(Piano Concerto No.1 b-flat minor Op.23) 2악장이 들려왔다. 궁핍한 청년은 발걸음을 멈추고 어느 집 벽에 몸을 기댄 채로 차이콥스키 피아노 협주곡의 남은 부분을 들었다. 연주가 끝났을 때 희열이 차오르며 전율을 느꼈다. 그 찰나 누구도 나를 불행하다고 말할 수는 없으리라. ‘아, 나는 이 행복 속에서 죽어도 좋겠네’라고 생각했다.

출판사 사장을 할 때 필화사건에 연루돼 두 달 동안 수형 생활을 했다. 살다 보면 뜻밖의 경험도 하는 법이다. 늦가을 오후, 비는 내리는데 나는 우울했다. 그때 맞은편 사동에서 노랫소리가 들려왔다. 한 청년이 창살을 붙잡고 노래를 불렀다.

“푸른 물결 춤추고 갈매기 떼 넘나들던 곳/ 내 고향집 오막살이가 황혼빛에 물들어간다/ 어머님은 된장국 끓여 밥상 위에 올려놓고/ 고기 잡는 아버지를 밤새워 기다리신다/ 그리워라 그리워라 푸른 물결 춤추는 그곳/ 아 저 멀리서 어머님이 나를 부른다.”

낭랑한 노랫소리가 사동과 사동 사이의 공간에 울려 퍼졌다. 처음 듣는 노래였는데, 누군가에게 물어보니 ‘어부의 노래’라고 했다. 어느 대목에서 코끝이 시큰해졌다. 우울함에 희망 한 스푼을 넣고 저었더니, 노여움과 분노가 녹은 듯 사라지고 기분이 좋아졌다. 그 찰나에도 나는 분명 행복했다.
'행복 왕국' 부탄의 아이러니
한때 미국은 물질적 풍요와 정치적 자유를 맘껏 누리며 사는 듯이 보였다. 다들 지구상에서 가장 부유한 나라를 부러워했다. 한국에서 미국 이민 붐이 크게 일었다. 미국에 가면 행복해질 거라는 환상이 퍼졌지만 ‘아메리칸 드림’이 신기루라는 게 곧 드러났다. 뉴욕타임스 기자를 지내고 작가로 활동하는 에릭 와이너는 이렇게 말한다. “행복에 대해 생각하고, 걱정하고, 계획을 짜고, 행복하지 않음을 탄식하고, 행복을 추구하는 데서 미국은 단연코 초강대국이다.”(에릭 와이너, <행복의 지도>) 여러 사정을 살펴보면 지금 미국인의 행복 지수는 다른 나라와 견줘 크게 높지는 않은 듯 보인다.

세계의 극빈 국가 중 하나인 부탄의 국민들은 스스로 행복하다고 여긴다고 한다. 군인보다 승려가 많고, 범죄율은 낮으며, 금연국가이고, 마리화나를 돼지 먹이로 주는 사람들의 나라, 마리화나를 먹은 돼지는 자꾸 배가 고파져서 나날이 뚱뚱해지는 나라가 부탄이다. 마리화나를 먹이며 돼지가 뚱뚱해지기를 기다리는 사람들이라니! 도로망도 부실하고, 산업도 발달하지 않은 부탄이 행복 지수가 가장 높은 나라라는 게 우리를 어리둥절하게 한다. 행복은 우리가 생각하는 그것이 아닐지도 모른다.
당신 미소에 내 불행은 묽어지고
어딘가에 행복한 나라가 있다. 그 행복한 나라를 안내하는 지도가 있다면 다들 그걸 손에 넣으려고 하지 않을까? 하지만 그런 지도가 있을 리는 없다. 인류는 행복한 장소를 상상하는 걸 멈추지 않았다. 사는 게 고단할수록 그 열망은 커졌을 테다. 허균은 <홍길동전>에서 괴로움을 벗어나 바다 저편에 율도국(栗島國)이라는 이상국가를 세우는 달콤한 상상을 펼쳤다. <홍길동전>은 ‘낙원 신화’를 바탕으로 하는 소설이다. 어딘가에 행복한 땅이 있을 거라는 상상이 에덴동산, 무릉도원, 유토피아, 엘도라도, 샹그릴라를 빚어냈다.

소득 수준이 높아지고, 더 좋은 자동차를 탄다고 우리 행복 지수가 높아진 것 같지는 않다. 오히려 불행하다고 말하는 사람이 더 늘어난 데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그중 하나는 행복 감수성이 낮아진 탓이다. 부디 행복 감수성을 키우시라. 기대치를 낮추고 욕망을 덜어내면 작은 것에서 행복을 느낄 수 있다.

내가 티베트 라마승의 12번째 현신이 아니라는 사실은 분명해졌다. 나와 마주친 당신이 내게 미소를 보여준다면 내 불행은 묽어진다. 당신이 행복하다면 나도 행복해질 수 있다. 무엇을 하든, 어떤 처지든 오늘보다 내일이 더 행복한 사람이 되자. 나는 유머 감각을 키우고, 작은 것에서 의미와 보람을 찾으며, 남과 더불어 행복해지는 일에 열정을 불태울 것이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